맨위로가기

알바루 3세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알바루 3세는 1615년부터 1622년까지 콩고 왕국 군왕 겸 로앙고 군주국 군왕으로 재위한 인물이다. 알바로 1세의 서자이자 막내로 태어나 이복 형 알바로 2세의 보살핌을 받으며 성장했으며, 이복 조카 베르나르도 2세의 후계자로 지명되어 왕위에 올랐다. 재위 기간 동안 예수회 대학 건설을 공식화하고, 네덜란드와의 관계를 회복하여 콩고 왕국의 이익을 도모했다. 1622년 39세의 나이로 사망했으며, 왕위는 이복 형제인 페드로 2세가 계승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7세기 아프리카 사람 - 알바루 6세
  • 17세기 아프리카 사람 - 알바루 4세
    알바루 4세는 17세기 콩고 왕국의 군왕이자 로앙고 군주국의 군왕으로, 1631년부터 1636년까지 통치하였으나 후계자 문제로 어려움을 겪다 알바로 5세의 쿠데타로 시해당했다.
  • 아프리카의 군주 - 페드루 4세
    페드루 4세는 17세기 후반 콩고 왕국의 왕으로 아구아 로사다 가문의 창시자이며, 왕위 계승의 어려움 속에서 왕국의 안정화를 위해 노력했고, 경쟁 가문 간 왕위 교대 계승 유언을 남겼다.
  • 아프리카의 군주 - 샤카 카센잔가코나
    샤카 카센잔가코나는 19세기 초 줄루족을 통일하고 군사 혁신을 통해 줄루 왕국을 남아프리카 지역의 강력한 세력으로 만들었지만, 음페카네와 공포 정치로 인한 암살이라는 어두운 면모도 가진 지도자로서 줄루족의 역사와 문화에 큰 영향을 미치고 있다.
  • 16세기 아프리카 사람 - 엔히크 1세
  • 16세기 아프리카 사람 - 주앙 1세 (콩고)
    주앙 1세는 15세기 콩고 왕국의 군주로, 포르투갈과의 접촉 후 기독교로 개종하면서 개명하였으며, 그의 통치 기간 동안 콩고 왕국은 서구 문물을 받아들이고 중앙 집권적인 체제를 강화했다.
알바루 3세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알바루 3세
알바루 3세
칭호Mwene Kongo (므웨네 콩고)
왕조kwilu 왕조 (크윌루 왕조)
재위 기간1615년 8월 ~ 1622년 5월 4일
전임자베르나르도 2세
후임자페드로 2세
개인 정보
본명Mbika-aya-Mpangu Nimi Lukeni lua Mvemba Álvaro Mbiki a Mpanzu (음비카 아야 음팡구 니미 루케니 루아 음벰바 알바루 음비키 아 음판주)
아버지알바루 2세
가계
왕조콩고 왕국 로앙고 왕실
왕가콩고 왕가
배우자왕비 1명, 후궁 1명
자녀슬하 3남 1녀
서장남암브로시오 1세
적삼남알바루 4세
친인척알바루 2세(이복 적형), 페드로 2세(이복 서형), 베르나르도 2세(이복 조카), 가르시아 1세(이복 조카), 암브로시오 1세(이복 조카), 알바루 4세(이복 조카)
출생1583년
출생지콩고 왕국 상 살바도르
사망1622년 5월 4일 (39세)
사망지콩고 왕국 상 살바도르에서 병사

2. 생애

알바로 1세의 서삼남이자 막내로 태어난 그는 이복형 알바로 2세와 이복 조카 베르나르도 2세의 뒤를 이어 콩고 왕국과 로앙고 군주국의 군왕으로 즉위하였다.

1619년경 상 살바도르(M'banza-Kongo)에 예수회 대학 건설을 공식화했다. 1610년대 네덜란드-콩고 관계는 국왕이 소요에 있는 네덜란드 무역 거점 폐쇄를 시행한 후 악화되었다. 콩고는 그의 통치 기간 동안 이 지역의 포르투갈 팽창주의를 견제하기 위한 수단으로 네덜란드와의 관계를 다시 부활시켰으며, 1621년 소요에서 네덜란드 무역 거점이 다시 문을 열었다.

2. 1. 왕위 계승

알바로 1세의 서삼남이자 막내로 태어났다. 그는 불과 네 살에 부왕을 여의고, 서른 살 위 이복 형 알바로 2세의 보살핌을 받으며 성장하였다. 1614년 8월 9일 이복 형 알바로 2세가 붕어하자, 네 살 많은 이복 조카 베르나르도 2세가 콩고 왕국 군왕 겸 로앙고 군주국 군왕에 즉위하였다. 병약하고 후사가 없었던 이복 조카 베르나르도 2세는 1615년 7월 20일 나이 어린 서출 숙부임에도 불구하고 그를 후계공으로 책립하였다. 한 달 후인 1615년 8월 24일, 베르나르도 2세가 36세로 붕어하자, 알바루 3세는 그의 보위를 이어받아 32세로 콩고 왕국 군왕 겸 로앙고 군주국 군왕에 즉위하였다.[1]

2. 2. 붕어

알바루 3세는 슬하에 3남 1녀를 두었으나, 재위 중 적차남과 서녀가 모두 어려서 병으로 사망하였다. 1621년 9월, 권력욕을 드러내며 세력을 규합한 열한 살 위 이복 서형 피에르 페드로 아폰소 공을 후계공으로 책립하여 연합 군주국 왕실 안정의 입지를 다졌고, 이듬해 1622년 5월 4일에 39세로 붕어하였다.[1]

3. 재위 기간 업적

알바루 3세는 콩고 왕국의 발전을 위해 여러 노력을 기울였다. 1619년경 상 살바도르(음반자콩고)에 예수회 대학 건설을 공식화했다. 1610년대에 소요에 있는 네덜란드 무역 거점 폐쇄를 시행한 후 악화되었던 네덜란드-콩고 관계를 다시 부활시켜, 이 지역의 포르투갈 팽창주의를 견제하고자 하였다. 그 결과 1621년 소요에서 네덜란드 무역 거점이 다시 문을 열었다.[1]

3. 1. 예수회 대학 건설

알바루 3세는 1619년경 음반자콩고에 예수회 대학 건설을 공식화했다.[1]

3. 2. 네덜란드와의 관계 회복

1614년 8월 9일, 이복 형 알바로 2세가 붕어한 후 이복 조카 베르나르도 2세가 콩고 왕국 군왕 겸 로앙고 군주국 군왕으로 즉위하는 것을 보았다. 1615년 8월 24일, 이복 조카 베르나르도 2세가 향년 36세로 붕어하자 그의 보위를 이어 32세로 콩고 왕국 군왕 겸 로앙고 군주국 군왕에 즉위하였다.

1610년대에 콩고 왕국이 소요에 있는 네덜란드 무역 거점 폐쇄를 시행한 후 네덜란드-콩고 관계는 악화되었다. 알바루 3세의 통치 기간 동안 콩고는 이 지역의 포르투갈 팽창주의를 견제하기 위한 수단으로 네덜란드와의 관계를 다시 부활시켰다. 1621년 소요에서 네덜란드 무역 거점이 다시 문을 열었다.[1]

4. 가족 및 친척 관계

알바루 3세는 알바로 1세의 아들이며, 알바로 2세, 페드로 2세는 그의 이복 형제이고, 베르나르도 2세, 가르시아 1세, 암브로시오 1세, 알바로 4세는 그의 이복 조카들이다.

4. 1. 부왕

관계이름
부왕알바로 1세
이복 적형알바로 2세
이복 서형페드로 2세
이복 조카베르나르도 2세
이복 조카가르시아 1세
이복 조카암브로시오 1세
이복 조카알바로 4세


4. 2. 이복 형제

이복 형제
알바로 2세 (이복 적형)
페드로 2세 (이복 서형)


4. 3. 이복 조카


  • 베르나르도 2세
  • 가르시아 1세
  • 암브로시오 1세
  • 알바로 4세

참조

[1] 서적 The Strange Adventures of Andrew Battell of Leigh, in Angola and the Adjoining Regions The Hakluyt Society 1901
[2] 서적 Brothers in Arms, Partners in Trade: Dutch-Indigenous Alliances in the Atlantic World, 1595-1674 https://books.google[...] Brill Publishers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